목록Linux (8)
현상유지 現狀維持
LVM 환경의 경우는 간단하게 파일시스템의 변경이 가능하지만(물론 / 루트 파일시스템은 single 모드에서 작업이 필요함 조금 피곤함) 전통적인 파티션을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파티션 확장하고 파일시스템을 확장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아마 이런 고민의 시작은 가상환경의 등장 지금까지는 물리적인 하드(HDD) 용량이 부족하면 HDD을 교환하는 방법 이외 생각할 수 없었습니다. 그런 점에서 LVM은 유용한 방식이로 디스크 교환이 아닌 디스크 추가로 VG와 LV을 확장이 가능했습니다. 서버의 가상화 하이퍼바이저의 등장으로 물리적인 디스크(HDD) 가 아닌 가상 디스크(HDD)을 이용하게 되면서 클릭 몇 번으로 기존의 디스크 사이즈를 확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전통적인 파티션 단위의 파일시스템 이..
리눅스 명령어를 무작정 암기 그럼 아무래도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걸리기도 하고 그냥 외우기보단 적어도 무슨 뜻인지 않고 사용하다 보면 조금은 친근감 있는 명령어가 되지 않을까 해서 정리해 봅니다 예를 들면 없으면 공황상태가패닉상태가 될 수도 있는 너무나 친숙한 man = 남자 , 숫컷,숫컷 , 뭔놈 아니구요 manual의 약자 cat = 고양이 귀엽긴 하지만 아니고요 concatenate(연결 있다) 의외인가요 ? 아는 데까지 정리해 봅니다 command complete expression meaning man manual 매뉴얼 cat catenate / concatenate 사슬로 잇다 tail 꼬리 rmdir remove directory 디렉토리 삭제 mkdir make directory 디렉토리..
LV을 축소하는경우 논리볼륨(LV)을 마운트해제을 필요로함루트 디렉토리 (/)의 경우는 시스템 이용중에는 마운트 해제가 불가능하므로Rescue모드에서 작업할필요가 있음 1 디스크 구성확인[root@test ~]# df -hFilesystem サイズ 使用 残り 使用% マウント位置/dev/mapper/VG00-LV00 3.3G 1.6G 1.6G 52% / ← 축소대상LV/dev/sda1 99M 24M 71M 25% /boottmpfs 125M 0 125M 0% /dev/shm [root@test ~]# lvdisplay /dev/VG00/LV00 ← 축소대상LV --- Logical volume --- LV Name /dev/VG00/LV00 VG Name VG00 LV UUID H37dZ2-u6pm-mwd..
메일서버 운영에서 많이 발생하는 문제 메일 로그을 조사하다 보번 분명이 송신한 메일의 로그가 없는경우가 있음 /var/log/messages 로그을 확인하면 rsyslogd-2177: imuxsock begins to drop messages from pid 14456 due to rate-limitingrsyslogd-2177: imuxsock lost 13 messages from pid 14456 due to rate-limiting ■원인은리눅스의 기본설정으로 5초간 200개 이상의 로그을 출력하는 프로세스가 있는경우 로그을 기록하지 않고 버림 결국 이후 로그을 찾아봐도 로그가 없는 문제가 발생 ■해결 방법/etc/rsyslog.conf 파일에 내용을추가 제한없이 기록하는경우$SystemLogRa..
1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free #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Mem: 1026876 974072 52804 0 202656 348008-/+ buffers/cache: 423408 603468Swap: 2048276 92 2048184 주의할 점은 여유메모리을 buffers/cache:로 사용하기 때문에 free MEM가 여유가 없어 보이더라도 사실은 buffers/cache로 확보 가능함 buffers/cache에도 종류가 많이 있으므로 관심 있음 좀 더 공부하심 2 디스크 여유공간을 확인df[root@localhost /]# df/dev/mapper/VolGroup-lv_root 12941636 1851304 10432924 16% /Filesyste..
리눅스 환경에서 qmail메이 서버 운영시 특정서버 또는 유저로부터대량의 메일발송 + bouncing메일 결과 대량의 큐 발생 메일 발송지연 문제 1. 먼저 현재 큐상황 확인 [root@MEZASU bin]# /var/qmail/bin/qmail-qstatmessages in queue: 84728 → 역시 대량의 큐 스팩에 따라 한계는 다르지만 메일 송신 지연이 발생messages in queue but not yet preprocessed: 0 2. 큐에 쌓여 있는 메일 을 일단확인(bouncing이 대량으로 리스트됨) [root@MEZASU bin]# /var/qmail/bin/qmail-qread6 Jun 2017 09:00:01 GMT #17546505 5310 bouncing remote XX..
시스템관리의 기본 백업크게 나누면 시스템 백업과 데이터 백업으로 나눌수있음여기서는 dump 명령어을 이용한 시스템백업에 관해서 설명 백업 취득대상 [/] [boot]백업은 파티션 단위로 취득함백업 장소 [/mnt/BK] 백업 장소는 로컬에도 취득가능하지만 DISK장에 대응이 목적인점을 생각하면 외부 저장매체을 추천 이번에는 윈도우 파일공유 폴더에 취득예정 팁: dump백업시 불필요한 폴더을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법 추가 1. 백업 장소을 마운트 #mount -t cifs -o user= //`XX.XXX.XXX.XXX0/Share1 /mnt/BK 2.chattr 명령어로 백업 불필요 폴더에 d 플러그 추가# chattr +d var# lsattr————-e- ./memo——d——e- ./var 3.백업할 ..
목적은 매일 자동으로 몇시부터 몇시까지 tcpdump을 취득하고취득한 dump 파일을 일정한 세대로 관리하는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번에는 00:00 – 24:00 시간 덤프을 취득하고 7일간 보존하는내용으로 진행방식은 덤프을 일정시간 취득하고 오래된 덤프을 삭제하는 스크립트을 작성하고crontab으로 실행 1. 덤프 취득 폴더 작성 #mkdir /tmp/tcpdump 2. (/home/toolusr/tcpdumpday.sh)스크립트 작성 #/bin/shfind /tmp/tcpdump/ -mtime +7 -deletetoday=`date +"%Y%m%d-%H%M"`/usr/bin/timeout 24h /usr/sbin/tcpdump -n -w /tmp/tcpdump/tcpdump-test-${today}...